Useful knowledge that enriches life
“19세기에 고안된 형태의 교실에서, 20세기에 태어난 교사들이,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불공정한 ‘학종’과 미래에 어울리지 않는 ‘주입식 교육’의 틈바구니에서 신음하는 교육 현장을 표현하는 말이다. 『학종유감』은 세계일보 교육팀장 이천종 기자의 '학종'을 둘러싼 논란의 맥락을 들여다보는 최초의 책이자, 학종 팩트체커다. ‘금수저, 깜깜이, 쓰앵님’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학종을 톺아보고, 학종의 주요당사자로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 입학사정관의 시선을 공평정대하게 담았다. 건국 이후 입시 관련 대형 사건들을 되짚으며 학종과 내신, 고교 서열화를 뿌리까지 파고들었다.
과연 ‘학종=금수저 전형’인가? 수능은 과연 흙수저에게 유리한가? 로스쿨은 현대판 음서제인가? 학종 개선론자들은 실제 “학종이 흙수저에 더 유리하다”고 하는데 진실은 무엇일까? ‘개천의 용’이 있던 시기가 정말 있었나?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쉽고 성급하게 대답하지 않고 켜켜이 쌓인 담론의 씨줄과 날줄을 세심히 보여준다. 우리 역사상 늘 논쟁적이었던 ‘입시’에 대해 섣부른 판단을 금하고 치우침과 가감 없이 지금 학종의 명과 암을 들여다본다.
프롤로그_ 한국인과 입시 • 4
1장. 학종 톺아보기
2019년은 학종의 해 • 19
키워드 하나, 금수저
씁쓸한 방정식, ‘학종=금수저 전형’ • 26
무너진 교육 사다리 • 34
‘흙수저’에겐 수능도 ‘넘사벽’ • 42
로스쿨은 현대판 음서제 • 49
학종 개선론자 “학종이 흙수저에 더 유리” • 57
과거 급제자도 ‘금수저·인(in)서울’이 다수였다 • 63
키워드 둘, 깜깜이
생기부인가, 사기부인가 • 71
구멍 숭숭 뚫린 생기부 • 77
땜질식 학종 간소화 대책• 85
애타는 학부모 나 홀로 정보전 • 91
합격 비법 난무하는 학종 가이드북 • 95
키워드 셋, 쓰앵님
대치동에서 학벌 자랑 하지 마라 • 101
돼지맘, 쓰앵님으로 갈아탔나 • 107
뒷간에서 웃는 사교육 업계 • 113
등골 브레이커 학종 사교육 • 119
치맛바람, 무즙 파동, 헬리콥터맘 • 127
2장. 학종을 바라보는 세 시선
좁혀지지 않는 간극 • 133
뿔난 학생과 학부모
가장 불공정한 대입 전형, 학종 • 141
새치기는 못 참아! • 147
입시개혁은 왜 늘 겉도나 • 150
사교육비 줄인다더니… • 155
착잡한 교사
입시 앞에만 서면 왜 작아지는가 • 163
4차 산업혁명, 입시 위주로는 절대 안 돼 • 173
‘개천의 용’은 허구 • 179
교실을 바꾸면 아이들이 춤을 춘다 • 186
답답한 입학사정관
이명박 정부가 키운 입학사정관 • 196
씨앗이 과일 되는 과정에 주목 • 201
교사의 서술 능력이 입학사정에 영향을 줄까 • 208
‘학종=금수저 전형’은 오해 • 212
3장. 대형 사건에서 찾는 입시 코드
입시는 역린이다 • 221
조국 파문, 그리고 입학사정관제와 학종
입학사정관제 구멍 메운 학종, 하지만 • 228
민주화 이후 확산된 수시 • 236
해방 이후 지필시험 변천사 • 240
필기시험은 사라지지 않았다 • 247
숙명여고 사건으로 다시 보는, 내신
‘신 중의 신’ 내신 • 253
교육특구 한복판에서 터진 폭탄 • 260
촛불시위로 번진 내신 농단 • 264
유명무실 상피제 개선 • 269
자사고 전쟁과 고교 서열화
이명박 정부 자사고 태동 때부터 논란 • 275
상산고를 겨눈 김승환의 칼 • 280
서울로 옮겨붙은 자사고 불길 • 284
상산고의 기사회생 vs 차도살인 • 290
자사고의 운명은? • 294
에필로그_ 세상의 ‘입알못’들을 위하여 • 300
주석 • 303
참고문헌 • 306
드라마 〈SKY 캐슬〉부터 ‘조국 사태’까지
‘학생부종합전형’을 둘러싼 논란의 맥락을 들여다보는 최초의 책
2019년은 역사책에 \\\'학종의 해\\\'로 기록될 것 같다. 드라마 〈SKY 캐슬〉로 시작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논란은 여름 ‘조국 사태’로 폭발했다. 여기서 촉발된 대입제도개편 논의로 ‘정시 확대론’과 ‘학종 개선론’이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이 논란에는 각각 당사자로서의 \\\'입장차\\\'만 있을 뿐, 정작 \\\'학생부종합전형\\\'을 둘러싼 담론의 실상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 책은 세계일보 교육팀장 이천종 기자의 \\\'학종\\\'을 둘러싼 논란의 맥락을 들여다보는 최초의 책이자, 학종 팩트체커다. ‘금수저, 깜깜이, 쓰앵님’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학종을 톺아보고, 학종의 주요당사자로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 입학사정관의 시선을 공평정대하게 담았다. 건국 이후 입시 관련 대형 사건들을 되짚으며 학종과 내신, 고교 서열화를 뿌리까지 파고들었다.
“19세기에 고안된 형태의 교실에서, 20세기에 태어난 교사들이,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불공정한 ‘학종’과 미래에 어울리지 않는 ‘주입식 교육’의 틈바구니에서 신음하는 교육 현장을 표현하는 말이다. 학벌사회 한국에서 입시는 민심의 역린이다. 그 앞에서 군사정권의 총칼도 무력했고, 민주화 이후 숱한 개혁도 허사였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입시개혁 성적표는 신통치 않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일은, ‘학종’을 둘러싼 논란의 맥락을 들여다봄으로써 현 위치를 제대로 판단하는 일일 것이다. ‘학종’을 둘러싼 다차원적인 담론의 맥락을 이해하고 우리 사회 입시의 명과 암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일독을 권한다.
‘정시 확대’냐, ‘학종 개선’이냐?
논란의 ‘학종’ 현 위치를 진단하고 명과 암을 들여다보는 팩트체크
지금 한국은 ‘정시 확대’와 ‘학종 개선’이라는 대입제도개편 논의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정시 확대파의 주장은 비교적 선명하다. 수능이 가장 공정하고 학종은 불공정한 전형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수능이 모두에게 기회가 제공되는 열린 대입전형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학종 개선론자는 정시 확대가 ‘예비고사?본고사, 학력고사, 수능’으로 이어지는 획일적 입시의 악몽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한다.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지금 상황에 주입식 입시 교육은 시대착오적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돌고 돌아 제자리. 대입 개혁의 핵심인 교육개혁은 돌아보면 결국은 도돌이표다. 선거 때마다,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입시제도 개혁의 청사진이 제시됐지만, 정책 일관성 부족으로 교육개혁 피로감만 키웠다.
팩트를 체크해보자. 과연 ‘학종=금수저 전형’인가? 수능은 과연 흙수저에게 유리한가? 로스쿨은 현대판 음서제인가? 학종 개선론자들은 실제 “학종이 흙수저에 더 유리하다”고 하는데 진실은 무엇일까? ‘개천의 용’이 있던 시기가 정말 있었나?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쉽고 성급하게 대답하지 않고 켜켜이 쌓인 담론의 씨줄과 날줄을 세심히 보여준다. 우리 역사상 늘 논쟁적이었던 ‘입시’에 대해 섣부른 판단을 금하고 치우침과 가감 없이 지금 학종의 명과 암을 들여다본다.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가 정의로운 입시’를 바란다면, 이것이 첫 발자국을 떼는 일일 것이다.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역린,
‘학종’의 현 상태를 치우침 없이 들여다본다
이 책은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은 역사책에 ‘학종의 해’로 기록될 것 같다.”로 시작하는 1장에서는 학종을 톺아보는 세 가지 키워드로 금수저, 깜깜이, 쓰앵님을 꼽고 그 실상을 파헤친다. ‘학종=금수저 전형’이라는 씁쓸한 방정식이 생기게 된 원인을 찾아보며, 구멍 숭숭 뚫린 생기부와 애타는 학부모를 통해 등골 브레이커가 된 학종 사교육의 현실을 파헤친다.
2장에서는 학종을 바라보는 세 시선을 담았다. 뿔난 학생과 학부모는 ‘학종’이 가장 불공평한 전형이라고 입을 모으고, 착잡한 교사는 입시 앞에만 서면 작아지게 된다. 답답한 입학사정관은 학종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말은 ‘오해’라고 강조한다.
3장에서는 대형 사건에서 찾는 입시 코드를 살펴본다. 조국 파문으로 보는 ‘입학사정관제와 학종’에서부터 숙명여고 사건으로 다시 보는 ‘내신’, 최근 교육부의 발표로 다시 화제가 되고 있는 ‘자사고 전쟁과 고교 서열화’ 등 대형 사건을 통해 학종을 둘러싼 논란을 한 올 한 올 파헤친다.
학벌사회 한국에서 입시는 ‘욕망이 집적된 사다리’이다. 그 사다리를 흔든 것은 용의 목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린 ‘역린’을 건드린 죄가 된다. 20년간 세계일보에서 정치 사회 교육을 막론한 굵직한 기사들을 써온 이천종 기자는 ‘학종’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입시 정책 결정에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을 추적하는데 공을 쏟는다. 지금 한국에서 ‘학종’을 포함한 교육문제와 교육정책에서 방향성을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저술지원으로 출판되었다.